홈페이지 제작

Web & Content Agency

SEO의 기본, schema.org 이해하기

Table of Contents

Estimated reading time: 3 minutes

Schema.org에 대한 이해

구조화 된 데이터를 구축 및 스키마를 촉진하는 데 있어 선두자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얀덱스는 2011년에 Schema.org 웹사이트를 개설하였습니다.

위 사이트의 참조 사항들을 살펴봄으로써, 누구라도 웹페이지 마크업을 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키마를 통해 구성한 구조화된 데이터들이 모두 공개되어 있어 각 페이지들이 의미하는 내용들을 검색엔진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표준화 방법이 궁금하다면 Schema.org 에 접속해보세요.

Schema.org의 유형 및 속성

스키마의 계층 구조

Schema.org에서 확인할 수 있는 스키마의 유형은 책, 영화, 이벤트, 조직, 레시피 등 각 페이지나 포스트가 담고 있는 기본적인 정보들의 알림입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Thing’ 이라는 스키마 아래 하위 분포되어 있는 CreatvWork, Audiobook 등으로 구분됩니다. 즉, 우리가 만드려고 하는 웹사이트의 유형에 따라서 각 페이지의 스키마들이나 웹 사이트 스키마들을 설정해줌으로써, 검색엔진이 “이런 사이트구나.” 파악한 뒤, 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검색 사용자들에게 노출하는 것입니다.

스키마 유형을 활용한 Knowledge Graph 예시

한 가지 사례를 들어보도록 할까요?

페이지라이터의 콘텐츠 작가인 한아름 씨가 최근 미용실을 창업했다고 가정해봅니다. 그녀는 자신의 훌륭한 헤어 아티스트 기술들을 널리 알리고 싶어 하고, 또 지역 내 주민들 및 잠재고객들이 유입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관련 사진들이나 정보들이 지역 내에 잘 노출될 수 있어야 할 텐데, 경쟁사 브랜드를 검색해보니까 다음과 같은 A Knowledge Graph Panel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Knowledge Graph panel

Knowledge Graph panel을 이용한다면, 경쟁사를 검색한 이들은 해당 영업장의 영업시간, 주소, 전화번호, 고객들의 리뷰, 브랜드를 대변하는 사진 등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구축하는 데 있어, 구글 비즈니스 프로필을 등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Schema.org를 통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구축할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우리 고객들이 Google 이외 네이버, 다음, yahoo, bing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검색을 할 수 있을 텐데, 등록하지 않았다면 우리 정보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이와 관련한 스키마를 한 번 찾아봐야겠죠. 스키마 사이트에 들어가 관련 유형들을 살펴보면, hairsalong 스키마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airsalong schema

위의 데이터 속성들을 참조해서 유형화 된 메타데이터 내용들을 입력하면, 검색엔진은 해당 스키마 내용들을 이해하고,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들에게 우선 노출하여 보여줍니다.

페이지라이터의 또 다른 콘텐츠들

PAGEWRITER

Start Project

필요하신 서비스가 있으신가요?
아직 윤곽이 잡히지 않은 아이디어도 괜찮습니다. 아이디어에 숨을 불어 넣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