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ed reading time: 4 minutes
Google rich results 페이지 및 포스트별 스키마
schema.org에서 정의할 수 있는 다양한 스키마 유형들 중, News Article 혹 Tech Article 등등 다양한 유형의 아티클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뉴스기사형 데이터는 기존 기사 섹션에서 노출되지는 않습니다. 기술적으로 우위를 가진 웹사이트라는 증명을 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스키마들을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워드프레스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News SEO 관련 플러그인들을 활용한다면, 스키마에 대한 큰 이해나 지식이 없어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외로도 테크 아티클, 레시피 아티클, 스콜라 아티클 등등 다양한 아티클들이 있습니다.
각 홈페이지 제작 목적을 미팅 시 먼저 여쭙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스키마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는 홈페이지라면, 발행하는 포스트 콘텐츠 역시 검색 사용자의 의도상 먼저 보고 싶은 콘텐츠들이 노출되는 까닭입니다.
비디오 오브젝트 스키마
구글에서 How to ~ 하고 검색하면 보통, 포스트 유형의 콘텐츠들도 나오지만, 요즘 구글을 비롯해서 네이버에서는 비디오를 먼저 노출해주곤 합니다.
글로 읽으면서 하기보다, 영상으로 보면서 느낌을 잡고, 다시 재생하면서 따라하는 게 검색 사용자들의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까닭입니다.
이때 홈페이지 내에 별도의 비디오 오브젝트 스키마를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유튜브를 적극 활용하여 검색 사용자들이 궁금해 할 만한 콘텐츠를 배치하는 것도 매우 훌륭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혹, 홈페이지 내에서 Broadcast Event와 결합한다면 동영상에서 Live 뱃지를 획득하실 수 있습니다.
FAQ 페이지 스키마
구글 및 네이버에서 스니펫을 띄워주는 콘텐츠들, 자주 보셨죠? 예를 들어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와 같은 추천 스니펫은 검색 사용자들이 궁금해 할 만한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 되어 있는지, 구글 알고리즘이 먼저 판단하고, 단독 파트를 마련하여 웹사이트를 소개해주는 형식입니다.
최근 네이버에서도 웹사이트, 블로그, 포스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리치 결과 혹 추천 스니펫을 띄워주기도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는 즉, 구글이 네이버의 매커니즘을 수용하고 따라가는 형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잘 뜨는 스니핏은 FAQ 페이지 혹 관련 글 스키마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양한 질문들이 경쟁적으로 스니펫에 올라가긴 하지만, How to 스키마나 FAQ 스키마는 기술적 부분, 레시피, 운영 방법 등등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므로, 되도록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할수록 스니펫에 등록될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그러려면, 내부 링크 관리는 물론 백링크, 외부 아웃바운드 링크 등 다양한 링크 연결, 관리가 필요합니다. 관련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할 테니까요.
쇼핑몰이라면, Product schema 활용하기
네이버 검색 및 네이버 쇼핑을 통한 매출 창출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이미 쇼핑몰을 가지고 있고, 운영하고 있다면 구글 역시 훌륭한 매출 창출원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schema.org에서 관련 제품 스키마를 찾으신 이후, SKU, 제품 가격, 제품 규격 등을 꼼꼼하게 메타 데이터로 입력해두신다면 구글에서 소개하는 상위 제품으로 소개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혹, 이미지 검색에서 상단 노출을 노리고 있다면 이미지의 이름, 이미지, 관련 제품 가격 등 priceCurrency 속성을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alt 설명만 등록하고 마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관련 정보를 입력한 경쟁사들 대비 낮은 순위를 차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Google rich results 테스트 해보기
메타데이터들을 모두 입력하셨다면, 우리 페이지가 잘 설정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이미 스니핏 노출을 위하여 코드들이 입력된 페이지를 입력하곤 하는데, 아직 메타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라면 JSON-LD 코드 혹 메타데이터 입력 예정인 코드들로 테스트 해볼 수도 있습니다.

주황색으로 뜨는 경고는 수정을 권고하는 사안입니다. 만약 빨간색으로 뜨면서 수정해야 할 코드들이 있다고 뜬다면, 해당 구조화된 데이터 목록을 추가하거나 수정해야 합니다.
오타가 있는지 잘 확인해보시고, 혹 잘못된 schema 이름을 사용한 건 아닌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