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제작

Web & Content Agency

블로그 글자 수 몇 자가 적당할까? (블로그 콘텐츠 편)

Table of Contents

구글 검색결과 상위노출을 노리시는 분들이라면, 콘텐츠 SEO 관리 과정에서 블로그 글자 수, 과연 몇 자가 적당할지 굉장히 고민이실 겁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단어 수가 많으면 많고, 자세한 콘텐츠 내용을 담을수록 구글 상위 노출에 유리하다는 게 정석으로 굳어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구글도 변화하고 있고, 특히 네이버는 더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좋은 품질의 글을 유지하면서, 구글 친화적인 블로그 글자 수는 몇 자일지, 본 글에서 탐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적인 블로그 글자 수 변화

구글의 경우, 네이버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SERP를 가집니다.

네이버의 경우, 글자 수를 기준으로 600~1,900자가 가장 이상적인 블로그 포스팅 길이입니다.

하지만, 구글의 경우에는 단어 단위로 표기하곤 합니다.

평균 블로그 글자 수 및 단어 수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구글 검색결과 상위노출을 위해 글을 쓰는 블로거 및 마케터들의 평균 단어 수는 500~800자였습니다.

해외의 사례로, 200단어 미만으로 짧은 게시물을 게시하던 Seth Godin의 경우, 평균 블로그 단어 수보다 더 짧게 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많은 트래픽을 수집하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에서 증명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는 콘텐츠가 높은 점수를 얻곤 합니다.

이에 대한 관련 Moz의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3,000~10,000단어 사이의 콘텐츠가 다른 소셜미디어 공유, 담아두기, 북마크가 가장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 상위 검색결과 블로그 단어 수

하지만, 최근 SERP IQ의 조사에 따르면 2,450단어가 조금 넘는 수준의 콘텐츠가 최적의 단어로 자리 잡았다는 연구 자료들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2016년 9월 Backlinko의 경우, 구글 첫 페이지에 노출되는 평균 단어의 수는 1,890단어 라는 자체 연구 결과를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블로그 단어 수에 따른 검색결과 순위

이 연구들을 종합해보자면, 짧은 단어의 콘텐츠들도 좋지만, 여전히 긴 글 형식의 콘텐츠가 좋은 콘텐츠로 평가된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패러다임도 점차 변화할 것이고, 지금 이 순간에도 구글과 네이버의 SEO 패러다임 변화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많은 단어를 포함한 긴 글 콘텐츠가 좋은 이유

사실 대부분의 검색 사용자들은 블로그 콘텐츠의 20% 정도만 읽습니다.

그냥 눈으로 쓰으윽, 훑어보다가 흥미로운 내용 혹 필요한 내용들만 읽어보는 편입니다.

블로그 단어 수 및 블로그 글자 수 대비 완독 지수

위의 점도표가 보여주는 결과와 같이, 방문자들 중 전체 내용을 다 읽어보는 사람은 없습니다.

머리글, 부주제, 글머리 기호 등을 스캔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들만 찾아서 읽어봅니다.

긴 글의 콘텐츠는 서사시를 읽는 것과 같은 지루함과 피로감이 따르는 까닭입니다.

하지만 긴 글의 콘텐츠는 전문적이라는 느낌과 함께, 그 특유한 만족감이 있습니다.

짧은 글의 콘텐츠에서는 설명 이미지, 부가적인 정보, 혹 스팸성 콘텐츠라고 생각해서 오랜 시간 머물지 않는 것입니다.

검색엔진 입장에서도 굳이 다른 글들로 링크를 넘기지 않아도, 모든 정보를 담아낼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노출하는 게 검색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때문에 장문이면서, 잘 정리되어 있고, 검색 사용자들이 궁금해 하는 모든 질문들을 해소해주는 콘텐츠를 좋은 콘텐츠로 인식합니다.

블로그 글자 수 – 검색 결과 및 스니펫에 미치는 영향

이와 관련해 비교 정보들을 상세하게 작성한 장문의 콘텐츠가 추천 스니펫을 차지하고, 꾸준히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검색 사용자를 만족시키면서, 콘텐츠 전문을 읽게 만드는 적정 블로그 글자 수

위의 문단에서 먼저 소개한 바와 같이, 적정 단어의 수는 2,000~2,150단어 라고 정의하려고 합니다. 블로그 글자 수 환산을 하자면, 약 4,000~5,000자가 되겠네요.

예를 들어, 핀테크 관련 콘텐츠들을 살펴볼까요?

핀테크 관련 콘텐츠는 2008년 9억 3천만 달러 수준에서 2014년에 12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했습니다.

투자자들이 읽고, 정보를 얻고, 욕구를 느끼게 만들 만한 정확하고, 자세한 자료들이 필요합니다.

주제가 상당히 복잡하므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콘텐츠가 아니라면 신뢰하기 어려운 까닭입니다.

이미지는 몇 개나 넣는 게 좋은가?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 한때 공식화 되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미지를 최소 6개, 많게는 40개, 더 많으면 좋다, 라는 다다익선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의미 없는 이미지들이 많이 나열되어 있는 건 검색 사용자들에게 썩 좋은 경험이 아닙니다.

위의 문단에서 먼저 언급한 핀테크를 예로 들어보자면, 시각적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이미지, 그래프, 차트, 기타 정보들이 담긴 이미지가 적절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설명하고자 하는 콘텐츠와 관련 있는 이미지, 부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시각적 이미지들이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미지의 개수보다는 그 퀄리티가 중요하다, 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산업별 이상적인 블로그 글자 수

때때로, 검색 사용자들이 접하는 정보들 중 아주 드라이한 정보만 얻고 싶어 하는 산업군들이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제품 스펙에 대해서 소개하는 콘텐츠이거나,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포트폴리오 등입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단어의 수가 많을 필요가 없습니다.

쇼핑몰 혹 제품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해서 설명하는 콘텐츠라고 가정을 해보도록 합니다. 단어의 수가 많다면 좋겠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2,000 단어 이상의 글을 보고 싶을까요?

제품에 대한 사진, 주요 기능, 컨셉 이미지, 가격 정도만 보고 싶을 겁니다.

그러므로 제품을 소개하는 콘텐츠라면, 300~500 단어 정도의 콘텐츠를 구성하시는 게 좋습니다.

패션 리뷰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쇼핑몰 소개와 마찬가지로 패션 콘텐츠는 매우 긴 글이 필요 없습니다. 약 800~950 단어 정도면 충분합니다.

즉, 패션 트렌드, 스타일, 산업 모델 등 패션에 대한 정보 이외 불필요한 정보를 빼고, 아주 드라이하게 운영하는 게 적합합니다.

제품 소개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와 시각적 정보들이 제외된다면, 아마 검색 사용자의 머무는 시간이 매우 짧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제품 소개처럼 관심 있을 법한 이미지, 그리고 소개에 적합한 이미지와 영상들을 적재적소하게 배치해보세요.

기술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새로 업데이트 된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는 뉴스 형식의 콘텐츠라면, 모바일에서 소화하기 쉬운 정도의 길이가 적당합니다.

제품, 기술 개발에 대한 이벤트는 사실 기존 내용들까지 줄줄 소개하기보다, 기존에 있던 콘텐츠에서 ~한 부분이 추가 되었다, 라는 소개 정도가 적당한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800~1,000 단어 정도를 구성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인테리어 디자인 혹 포트폴리오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포트폴리오를 소개하는 콘텐츠라면, 이미지와 영상, 작업 완료 이미지들을 주로 보고 싶을 것입니다.

따라서 프로젝트 과정, 완료 후 느낀 점, 고객사의 리뷰, 고객사가 경험하는 성과 등을 소개하는 콘텐츠가 적합합니다.

길이는 2,000 단어 이상 길게 표기하기보다 1,000~1,200 단어 정도, 이미지와 영상 등 시각적인 정보들을 주력으로 표현해보세요.

음식 관련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음식 관련 콘텐츠라면, 특정한 음식에 대한 리뷰 혹은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양 성분들을 소개하는 블로그일 것입니다.

이러한 콘텐츠들을 다루는 블로그들이 굉장히 많이 늘었는데, 상위 결과를 차지하는 콘텐츠들은 대개 1,400~1,900 단어 내외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여행 및 관광지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여행을 떠나기 전에 자세한 정보 등을 찾아보는 예비 여행자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들은 다양한 리뷰와 정보들을 찾아보곤 하는데, 한 곳에서 모든 정보들을 볼 수 있다면, 그 정보를 공유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때문에 여행 관련 콘텐츠들은 1,850 단어 정도로, 되도록 자세하게 작성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마케팅/광고 산업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이 산업은 Moz, Hubspot, Backlinko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케팅 블로그들이 증명하는 실적과 같이, 긴 형식의 콘텐츠 외로는 답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블로그 포스팅당 최소 2,500 단어 이상을 작성하는 게 좋습니다.

의료 관련 산업 소개 콘텐츠 블로그 글자 수

최근 병원이나 의원, 미용 시술 등 산업에서도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제작을 시도하곤 합니다.

블로그 운영을 통해 네이버, 다음, 구글을 섭권할 수 있는 까닭입니다.

의료 산업에서 운영되는 콘텐츠들 중 구글 상위 검색 결과에서 자리를 굳건하게 지키는 콘텐츠들은 2,000~2,150 단어 정도입니다.

결론

블로그 콘텐츠가 구글 및 네이버 상위 노출이 되는 결정 여부는 수많은 변수들이 있습니다.

블로그 글자 수 보다는 Substance, Style, Frequency, Format, Purpose, Audience, Medium 등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매우 많습니다.

그러므로 짧은 콘텐츠들이 종종 상위에 노출되어 있다면, 왜 그 콘텐츠를 검색엔진이 선택했을지 고민해보는 게 우선 작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관련 콘텐츠 더 보기

PAGEWRITER

Start Project

필요하신 서비스가 있으신가요?
아직 윤곽이 잡히지 않은 아이디어도 괜찮습니다. 아이디어에 숨을 불어 넣어드립니다.